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

728x90

경제학은 인간의 ‘선택’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그중에서도 소비자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 바로 탄력성(elasticity)입니다.
그중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고, 기업이 가격 전략을 세우고, 정부가 세금 정책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탄력성을 중심으로, 개념, 계산법, 실제 사례, 시사적 중요성을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탄력성이란 무엇인가?

경제학에서 탄력성이란,

어떤 요인의 변화가 수요(또는 공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한 값입니다.

쉽게 말해, 무언가의 가격이 오르거나 소득이 늘었을 때,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덜 사거나 더 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Demand)

정의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수요의 가격탄력성 (PED)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 탄력성 절대값 > 1: 수요가 가격에 민감 (탄력적 수요)
  • 탄력성 절대값 < 1: 수요가 가격에 둔감 (비탄력적 수요)
  • 탄력성 = -1: 단위탄력적
  • 탄력성 = 0: 가격이 변해도 수요가 전혀 변하지 않음 (완전비탄력)
  • 탄력성 = ∞: 아주 작은 가격 변화에도 수요가 무한히 변함 (완전탄력)

예시 1: 사과

사과 1개 가격이 1,000원 → 1,200원 (+20%)
소비자들이 100개 사던 것을 60개로 줄임 (-40%)

→ 가격탄력성 = -40% / 20% = -2

→ 절대값이 1보다 크므로 탄력적 수요
: 가격이 오르자 소비자들이 빠르게 반응해 구매를 줄임

예시 2: 소금

소금은 필수재라 가격이 조금 오르더라도 사람들이 계속 구매합니다.

→ 가격이 20% 올라도 수요가 5%만 줄었다면, 탄력성은 -0.25
비탄력적 수요

 

수요가 탄력적인 품목의 특징

  • 대체재가 많음 (예: 콜라 vs 사이다)
  • 사치재일수록 탄력적
  • 가격 비중이 큰 품목
  • 장기적일수록 탄력 증가

수요가 비탄력적인 품목의 특징

  • 필수재 (약, 쌀, 전기)
  • 대체재가 적음
  • 가격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소비자 (습관성 소비)

수요의 소득탄력성 (Income Elasticity of Demand)

정의

소득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소득탄력성 (YED) = 수요량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 YED > 1: 사치재 –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급격히 증가
  • 0 < YED < 1: 필수재 – 소득이 증가해도 수요 증가폭은 작음
  • YED < 0: 열등재 – 소득이 늘면 오히려 수요가 줄어듦

예시 1: 명품 가방

소득이 10% 증가하자, 루이비통 수요가 30% 증가 → YED = 3
사치재, 소득이 늘자 수요 폭발

예시 2: 즉석라면

소득이 20% 증가하자 라면 소비가 5% 줄어들었다면 → YED = -0.25
열등재, 소득이 늘자 더 좋은 음식 선택

예시 3: 쌀

소득이 10% 증가해도 쌀 소비는 2% 증가 → YED = 0.2
필수재, 소득 증대와 상관없는 수요 패턴

비교 정리

구분 가격탄력성(PED) 소득탄력성(YED)
측정 대상 가격 변화 → 수요량 변화 소득 변화 → 수요량 변화
수치 해석 절대값 기준 (1 기준) 양수/음수 기준
탄력적 조건 절대값 > 1 YED > 1
비탄력적 조건 절대값 < 1 0 < YED < 1
음의 값 의미 일반적으로 음수 (가격↑ 수요↓) 열등재 (소득↑ 수요↓)

왜 탄력성이 중요한가?

1. 기업의 가격전략 수집

기업은 상품의 수요 탄력성에 따라 가격을 올릴지 내릴지를 결정합니다.

  • 비탄력적 수요: 가격을 올려도 수요가 크게 줄지 않음 → 가격 인상 유리
  • 탄력적 수요: 가격 인상 시 수요가 급감 → 가격 인하 전략 필요
  • 예: 영화관 팝콘, 고속도로 톨게이트 요금 등은 비탄력적 상품이기 때문에 가격을 높여도 수요가 크게 줄지 않음.

2. 세금 정책 설계

정부가 세금을 부과할 때도 탄력성을 고려합니다.

  • 비탄력적 상품(담배, 기름)에 세금을 부과하면 세수 확보에 유리
  • 탄력적 상품에 과세하면 수요가 줄어들어 오히려 세수 감소 가능성

3. 경기 분석과 정책 대응

소득탄력성은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펼칠 때 소비 진작 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사치재 중심의 소비가 늘면 경기 회복 신호
  • 열등재 소비가 늘면 경기 침체 우려 가능성

탄력성과 물가정책

2023~2024년 사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하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필수재와 사치재의 가격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정부는 가격탄력성이 높은 생필품에 대한 물가안정 대책을 우선 시행했습니다.
예컨대 농산물 수급조절, 대체재 확보, 수입관세 인하 등은 모두 비탄력적 수요 구조를 가진 품목에 대응한 정책이었습니다.

요약 정리

항목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
목적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민감도 측정 소득 변화에 대한 수요 민감도 측정
해석 기준 절대값 기준 (1) 음/양수 기준 (0, 1)
중요한 이유 가격 전략, 세금 설계 경기 판단, 소비 분석
적용 사례 전자제품, 쌀, 담배 명품, 라면, 외식비 등
728x90